평일 10시~17시
02) 325-7216
후원계좌(신한)
100-028-371614
(사)이한열기념
사업회
6월 민주항쟁 38주년 기념 전시《광장의 노래》 |
글쓴이 : 관리자 등록일 : 2025-06-24 13:53:37 조회 : 40 |
SNS 공유
![]() ![]() |
키비주얼.png (55K) |
이한열기념관은 6월 민주항쟁 38주년을 맞아, 자유와 민주주의를 향한 열망으로 광장에 모였던 시민들이 함께 부른 민중가요를 소개하는 전시 《광장의 노래》를 마련하였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1980년대 금지곡을 비롯하여 5·18민주화운동, 6월 민주항쟁, 7·8·9 노동자 대투쟁 그리고 현재에 이르기까지 한국 현대사의 중요한 순간마다 울려 퍼졌던 민중의 노래와 투쟁의 구호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시는 총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부는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민중가요가 걸어온 길을 조망하고자 합니다.
1부 <1980년대의 노래들>에서는 1982년 4월, 5·18민주화운동 희생자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어진 노래극 ʻ넋풀이 ‒ 빛의 결혼식’에 삽입된 ʻ임을 위한 행진곡’을 통해 당시 광주의 비극과 투쟁의 기억을 되새겨봅니다. ʻ임을 위한 행진곡’은 처음엔 낯선 민중가요였지만 동지애와 투쟁 의지를 담은 가사는 이내 많은 이들의 마음을 울렸고, 오늘날까지 광장에서 널리 불리는 상징적인 노래가 되었습니다.
2부 <민주화 운동의 현장>은 6월 민주항쟁과 이어진 7·8·9 노동자 대투쟁 속에서 불렸던 다양한 민중가요들을 조명합니다. 수많은 시민들이 즐겨 부르던 대중적인 노래들이 역사와 투쟁의 상징으로 변모한 순간들, 그리고 이 시기를 통해 민주노동조합이 대중화되는 과정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 3부 <민중가요의 탄생>에서는 1980년대 대학가의 노래패 출신 청년들이 졸업 후 노동자가 되면서 활동한 노래 운동을 다룹니다. 이들은 민중가요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사회 전반에 알리고 대중적 공감과 확산을 현재까지 이끌어냈습니다. 또한 2024년 12월 3일 계엄 이후의 광장에서 불린 노래들은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를 경험하는 공간으로 마련하였습니다.
노래는 감정과 시대를 담아내고, 마음을 움직이는 힘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광장의 노래> 전시를 통해 시대의 아픔과 희망을 함께 노래했던 많은 우리의 목소리들을 느껴 보시길 바랍니다.
전시기간 : 2025.06.09.(월) - 12.26.(금) 관람시간 : 월-금 오전 10시 – 오후 5시
전시기획·총괄 : 손세영 전시진행·보조 : 이은영·유수빈 전시주최 : 이한열기념관·서울특별시 전시디자인 : 비솔아트
이한열기념관 04057 서울시 마포구 신촌로 12나길 26 문의 02-325-7216 /www.leememorial.or.kr
전경1
전경2
전경3
전경4
|